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부유한 환경에서 자란 소설가, 시인, 번역가, 곤충학자, 체스 문제 작곡가이다. 러시아 혁명 이후 서유럽과 미국으로 망명하여 영어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대표작으로는 『롤리타』, 『푸닌』 등이 있다. 그는 복잡한 플롯, 언어 유희, 은유, 패러디가 특징인 문체를 구사했으며, 20세기 최고의 소설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곤충학 연구에도 몰두하여 나비의 분류학적 연구를 진행했으며, 체스 문제 제작에도 재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계 스위스인 - 이반 데스니
독일과 프랑스에서 활동한 배우 이반 데스니는 150편 이상의 영화에서 다양한 배역을 맡았으며, 독일 영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명예 독일 영화상을 수상했고, 스위스 아스콘나에 안장되었다. - 러시아의 곤충학자 - 알렉세이 펫첸코
알렉세이 펫첸코는 19세기 러시아의 탐험가, 곤충학자, 지리학자로서 아내와 함께 투르키스탄 지역과 파미르 고원을 탐험하며 곤충, 지리, 기후, 동식물 등을 연구했고, 기니충증의 생활 주기를 밝히는 등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 영어-러시아어 번역가 - 조지프 브로드스키
조지프 브로드스키는 러시아계 유대인 시인으로, 소련에서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하여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개인의 고뇌, 망명 등을 주제로 서정시, 에세이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다. - 영어-러시아어 번역가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20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소설가, 번역가인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시집 《나의 누이, 삶》으로 러시아 시단에 반향을 일으켰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거부하며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옹호하는 작품을 창작했으며, 대표작 《닥터 지바고》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나 소련 당국의 압력으로 수상을 거부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나보코프 |
다른 이름 | (블라디미르 시린) |
출생일 | 1899년 4월 22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사망일 | 1977년 7월 2일 |
사망지 | 스위스 몽트뢰 |
활동 시기 | 1916년부터 |
배우자 | 베라 나보코프 |
자녀 | 드미트리 나보코프 |
웹사이트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공식 웹사이트 |
대표 작품 | |
교육 | |
학력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
고용 |
2. 생애
1917년 2월 혁명으로 나보코프와 그의 가족은 크림반도로 피신하여 18개월을 지냈다. 백군이 크림반도에서 패배한 후, 1919년 서유럽으로 망명했다. 잠시 영국에 거주하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동물학, 슬라브어, 로망스어를 공부했다.
1922년 아버지 블라디미르 드미트리예비치 나보코프가 베를린에서 암살당했다. 192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한 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러시아계 이민파 사이에서 소설가 겸 시인으로 좋은 평판을 얻었다. 1925년 유대계 러시아인인 베라 슬로빈과 결혼했고, 1934년 아들 드미트리 나보코프를 얻었다.
1940년 5월 28일 미국 뉴욕으로 망명했다. 1955년 소설 『롤리타』 출판으로 국제적인 작가가 되었고, 1961년 스위스 몽트뢰로 이주하여 평생 집필 활동에 전념했다. 1977년 몽트뢰에서 사망하였다.
2. 1. 러시아 시절 (1899-1919)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1899년 4월 22일(구력으로는 1899년 4월 10일)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부유하고 저명한 러시아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14세기 타타르의 왕자 나보크 무르자의 후손으로, 무르자는 차르의 신하가 되었고 그의 이름을 따서 가문의 이름이 유래되었다.[9][20][10]
아버지 블라디미르 드미트리예비치 나보코프는 자유주의 변호사, 정치가, 언론인이었고, 어머니는 백만장자 금광 소유주의 손녀인 엘레나 이바노브나 루카비슈니코바였다. 아버지는 혁명 이전 자유주의 입헌민주당의 지도자였으며, 형법과 정치에 관한 수많은 책과 기사를 썼다.[11] 사촌 중에는 작곡가 니콜라스 나보코프가 있었다. 할아버지 드미트리 나보코프는 알렉산드르 2세 치하에서 러시아 법무부 장관을 지냈고, 할머니는 발트 독일인 남작부인 마리아 폰 코르프였다. 아버지 쪽으로는 작곡가 카를 하인리히 그라운의 후손이었다.[12]
블라디미르는 가문의 장남이자 가장 총애받는 자녀로, 세 명의 남동생과 여동생(올가, 엘레나, 키릴)이 있었다. 남동생 세르게이는 나치의 강제 수용소에서 히틀러 정권을 공개적으로 비난한 후 1945년에 사망했다. 작가 아인 랜드는 올가를 헌정 군주제를 지지하며 자신의 정치적 관심을 처음 일깨운 사람으로 회상했다.[13][14] 여동생 엘레나는 1985년 블라디미르와의 서신을 출판했는데, 이는 나보코프 전기 작가들에게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나보코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도시 남쪽 시베르스카야 근처 시골 영지 비라에서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를 보냈다. 그는 "완벽"하고 "세계적인"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회상했는데, 가족은 집에서 러시아어, 영어, 프랑스어를 사용했고, 나보코프는 어린 나이부터 3개 국어를 구사했다. 어머니가 처음 읽어준 영어 책은 플로렌스 몽고메리의 ''오해받은(Misunderstood)''이었다. 애국심이 강한 아버지의 실망에도 불구하고, 나보코프는 러시아어보다 영어를 먼저 읽고 쓸 수 있었다. 회고록 ''말하라, 기억이여''[15]에서 나보코프는 특권적인 어린 시절에 대한 수많은 세부 사항을 회상한다. 그의 과거를 생생하게 기억하는 능력은 영구적인 망명 기간 동안 큰 도움이 되었으며, 첫 책 ''메리''부터 ''아다 또는 열정: 가족 연대기''와 같은 후기 작품까지 이어진 주제를 제공했다. 가족은 명목상 동방 정교회였지만, 종교적 열정은 거의 없었다. 블라디미르는 흥미를 잃은 후 교회에 출석하도록 강요받지 않았다.
1916년, 나보코프는 삼촌 바실리 이바노비치 루카비슈니코프("말하라, 기억이여"에서 "루카 삼촌")로부터 비라 옆 로제스트베노 영지를 물려받았으나, 1년 후 10월 혁명으로 잃었다.
나보코프의 청소년기는 그가 처음으로 진지한 문학적 노력을 한 시기였다. 1916년, 68편의 러시아 시 모음집인 첫 책 ''스티키(Stikhi)''(시)를 출판했다.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테니셰프 학교에 다니고 있었는데, 문학 교사 블라디미르 바실리에비치 기피우스가 그의 문학적 성과를 비판했다. ''스티키'' 출판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기피우스의 사촌인 유명한 시인 지나이다 기피우스는 사교 행사에서 나보코프의 아버지에게 "아들에게 당신은 결코 작가가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주세요."라고 말했다.[16]
1917년 2월 혁명 이후, 나보코프의 아버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러시아 임시 정부의 비서가 되었다. 10월 혁명 이후 나보코프 가족은 크림반도로 피신했다. 그들은 친구의 영지에서 살았고, 1918년 9월 나보코프의 아버지가 법무부 장관을 지낸 분리주의 크림 지역 정부가 통치하던 리바디야로 이주했다. 1919년 러시아의 백군이 크림반도에서 패배한 후, 나보코프 가족은 서유럽으로 망명하여 잠시 영국에 거주했으며, 이때 나보코프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해 로망스어군와 슬라브어파를 공부했다.
2. 2. 망명과 유럽 생활 (1919-1940)
1917년 2월 혁명으로 나보코프와 그의 가족은 크림반도로 피신하여 18개월을 지냈다. 백군이 크림반도에서 패배한 후, 1919년 서유럽으로 망명했다. 잠시 영국에 거주하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동물학, 슬라브어, 로망스어를 공부했다. 2학년 말 트라이포스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했고, 최종적으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나보코프는 케임브리지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설 ''영광''과 ''세바스찬 나이트의 진실한 삶'' 등을 썼다.[18]1920년 가족이 베를린으로 이주했고, 나보코프는 2년 뒤 베를린으로 따라갔다. 1922년 3월, 아버지 블라디미르 드미트리예비치 나보코프가 베를린에서 암살당했다. 나보코프는 베를린에서 'V. 시린' (러시아 민속의 상상의 새)이라는 필명으로 러시아어로 시와 소설을 발표하며 망명 공동체 내에서 인정받는 작가가 되었다. 그는 언어, 테니스, 권투 레슨 등으로 부족한 수입을 보충했다.
1923년 5월, 베를린의 자선 무도회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여성 베라 슬로님을 만났다.[20] 1925년 4월에 결혼했고, 1934년 외아들 드미트리 나보코프가 태어났다.
1936년, 베라가 반유대주의 환경으로 직장을 잃자, 나보코프는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직업을 찾기 시작했다. 1937년, 프랑스로 이주하여 파리에 정착했다. 1939년, 파리에서 55페이지 분량의 러시아어 소설 ''마법사''를 썼는데, 이는 훗날 ''롤리타''의 초기 형태라고 불렸다.[21][22]
2. 3. 미국 이주와 문학적 성공 (1940-1961)
1940년 나보코프 부부는 맨해튼에 정착했고, 블라디미르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서 곤충학자로 자원 봉사를 시작했다.[24]1941년 나보코프는 웰즐리 대학교 강사로 부임하여 비교 문학을 가르쳤다. 그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이 자리는 그에게 수입을 제공했고 창작 활동과 나비 연구를 할 수 있는 자유 시간을 주었다. 나보코프는 웰즐리 대학교 러시아어 학과의 설립자로 기억되고 있다. 1941년-1942년 학년도에 매사추세츠주 웰즐리에서 거주했으며, 1942년 9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로 이사하여 1948년 6월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미국 강연 투어를 마친 후 1944년-1945년 학년도에 러시아어 강사로 웰즐리 대학교로 돌아왔다. 1945년, 귀화하여 미국 시민이 되었다. 1947년-1948년 학기까지 웰즐리 대학교의 유일한 러시아어 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러시아어와 문학 강좌를 제공했다. 그의 수업은 독특한 교수법과 러시아에 대한 전시 상황의 관심으로 인기가 많았다. 동시에 하버드 대학교 비교 동물학 박물관의 사실상 나비 큐레이터였다.[25]
1948년 모리스 비숍의 권유를 받아 웰즐리 대학교를 떠나 코넬 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학과 유럽 문학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1959년까지 재직했다. 코넬 대학교에서 나보코프의 제자 중에는 훗날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이 된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가 있었는데, 그녀는 나보코프를 작가로서 자신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꼽았다.[26]
나보코프는 매년 여름 미국 서부에서 나비 채집 여행을 하는 동안 ''롤리타''를 썼다. 베라는 "비서, 타이피스트, 편집자, 교정자, 번역가, 서지학자, 그의 에이전트, 사업 관리자, 법률 고문, 운전사, 연구 조수, 교육 조수, 교수 대역" 역할을 했다. 나보코프가 ''롤리타''의 미완성 원고를 불태우려 하자 베라는 그를 막았다. 그는 그녀를 자신이 아는 가장 유쾌한 여자라고 불렀다.[27][28]
1953년 6월, 나보코프와 그의 가족은 오리건주 애슐랜드로 갔다. 그곳에서 ''롤리타''를 완성하고 소설 ''프닌''을 쓰기 시작했다. 근처 산을 돌아다니며 나비를 찾고, "오리건에서 쓴 시"라는 시를 썼다. 1953년 10월 1일, 가족과 함께 이타카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젊은 작가 토머스 핀천을 가르쳤다.[29]
1955년 소설 『롤리타』 출판으로 국제적으로 유명한 작가가 되었고, 1959년 스위스 몽트뢰로 이주하여 평생 집필 활동에 전념했다.
2. 4. 스위스 정착과 말년 (1961-1977)
나보코프는 《롤리타》의 엄청난 재정적 성공 이후 유럽으로 돌아와 집필에 전념했다. 1961년에 베라와 함께 스위스 몽트뢰에 있는 페어몬트 르 몽트뢰 팰리스 호텔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머물렀다.[20] 6층 숙소에서 업무를 처리하고, 나비 사냥을 위해 알프스, 코르시카, 시칠리아로 여행을 떠났다.1977년 7월 2일 몽트뢰에서 기관지염으로 사망했다.[30][31] 유해는 화장되어 몽트뢰의 클라랑스 묘지에 묻혔다.[32]
사망 당시, ''로라의 원본''이라는 소설을 집필 중이었다. 베라와 드미트리는 나보코프의 문학 유언 집행인으로 지정되었으며,[20] 미완성 원고를 불태워 달라는 요청을 무시하고 2009년에 출판했다.[33][34][35]
3. 작품 세계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소설뿐만 아니라 시, 희곡, 평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작가이다. 대표작으로는 『롤리타』, 『선물』, 『세바스찬 나이트의 진실한 삶』, 『창백한 불꽃』, 자전적 작품인 『기억하라, 이야기하라』 등이 있다.
번역가로서도 활동하여 1923년에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러시아어로 번역한 『이상한 나라의 아냐』를 출판했고, 1964년에는 푸시킨의 『예브게니 오네긴』에 대한 방대한 주석을 단 영어 번역본을 출판했다.[101]
나보코프는 문학적 장치, 함의, 유머 감각이 풍부한 기교적인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난해함"과 언어 유희로 가득 차 있지만, 대부분의 작품이 일본어로 번역되었고, 여러 일본어 번역본이 존재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나보코프는 자신의 작품을 영어와 러시아어로 직접 번역하면서 많은 개작을 하였는데, 특히 60세 이후 영어 번역 과정에서 미국에서의 성공을 위한 타협이나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내용을 추가하기도 했다.
3. 1. 주요 작품
; 러시아어로 쓰인 주요 작품- (1926) ''마셰''
- (1928) ''왕, 여왕, 그리고 광대''
- (1930) ''루진의 방어''
- (1930) ''눈''
- (1932) ''글로리''
- (1933) ''어둠 속의 웃음''
- (1934) ''절망''
- (1936) ''사형으로의 초대''
- (1938) ''선물''
- (1939) ''마법사''
; 영어로 쓰인 주요 작품
- (1941) ''세바스찬 나이트의 진짜 삶''
- (1947) ''굽은 불길''
- (1955) ''롤리타'' (1965년에 직접 러시아어로 번역)
- (1957) ''프닌''
- (1962) ''창백한 불꽃''
- (1967) ''말하라, 기억이여: 자서전 재검토''
- (1969) ''아다 또는 열정: 한 가족의 연대기''
- (1972) ''투명한 사물들''
- (1974) ''할리퀸을 보라!''
- (2009) ''로라의 원본'' (1970년대 중반에 쓰여진 단편, 사후 출판)
3. 2. 문학적 특징
나보코프는 20세기 문학의 주요 문체론자 중 한 명으로, 러시아어로 첫 작품을 썼지만 영어 소설로 큰 명성을 얻었다. 그는 삼개 국어 구사자였으며, 조지프 콘래드와 비교되기도 했으나, 나보코프는 이러한 비교와 콘래드의 작품 모두를 싫어했다.[20] 그는 비평가 에드먼드 윌슨에게 "나는 콘래드처럼 글을 쓰기에는 너무 늙었다"라고 말했으며,[20] 존 업다이크는 이를 "천재적인 농담"이라고 평했다. 1950년 11월, 나보코프는 윌슨에게 보낸 편지에서 "콘래드는 내가 아는 것보다 기성 영어를 더 잘 다루었지만, 나는 다른 종류의 영어를 더 잘 안다. 그는 내 악문의 깊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내 언어적 절정에도 이르지 못한다"라고 평가했다.[20]나보코프는 초기 작품 다수를 영어로 직접 번역했으며, 아들 드미트리와 협업하기도 했다. 이러한 삼개 국어 환경은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보코프는 개인주의를 옹호하고, 전체주의는 물론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처럼 개인의 자유와 표현을 억압하는 사상과 이념을 거부했다.[20]
그의 창작 방식은 수백 장의 색인 카드에 글을 쓰고, 이를 확장, 재배열하여 소설 구조를 형성하는 독특한 방식이었으며, 이는 훗날 많은 시나리오 작가들이 채택했다.[38]
나보코프는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블라디미르 시린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했는데, 이는 비평가들로부터 자신의 정체를 숨기기 위한 것이었다.[39] 또한 ''롤리타''와 ''아다''에 등장하는 비비안 다크블룸(Vivian Darkbloom,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아나그램)처럼 자신의 소설에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했다.
나보코프는 복잡한 플롯, 기발한 언어 유희, 대담한 은유, 패러디와 강렬한 서정성이 돋보이는 문체로 유명하다. 특히 12세 소녀를 향한 성인의 열정을 그린 ''롤리타''(1955)로 큰 명성과 논란을 동시에 얻었다. ''롤리타''와 ''창백한 불꽃''(1962) 등의 작품은 그를 20세기 최고의 소설가 반열에 올려놓았으며, 노벨 문학상 후보로 여러 차례 지명되기도 했다.[40]
나보코프의 문학 평론은 1964년 출간된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예브게니 오네긴'' 번역 및 해설(총 4권)에 기반한다. 해설에 포함된 ''운율에 관한 노트'' 부록은 독자적인 명성을 얻기도 했다.
3. 3. 번역
1923년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러시아어로 번역하여 『이상한 나라의 아냐』를 출판하였다. 1964년에는 약 15년에 걸쳐 푸시킨의 『예브게니 오네긴』을 영어로 번역하고 주석을 달아 볼린겐 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했는데, 이 주석은 본편 번역의 2배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었다.[101] 나보코프는 자신의 작품을 영어와 러시아어로 직접 번역하며 크고 작은 개작을 많이 했다. 특히 60세 이후에 영어 번역이 이루어졌는데, 미국에서의 성공을 위한 타협이 보이는 한편, 공산주의를 용인하는 서방 지식인들을 조롱하는 문장을 가필한 작품도 있어, 이러한 "번역" 과정을 통해 새롭게 탄생하거나 다시 태어난 작품도 적지 않다.4. 기타 활동
나보코프는 곤충학, 특히 나비 연구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마리아 시빌라 메리안의 책에서 영감을 받아 곤충학에 입문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비교 동물학 박물관에서 나비 수집을 정리하는 연구원으로 일하기도 했다.[65] 그는 파랑나비과의 Polyommatini족을 전문적으로 연구했으며, 카너 블루를 기술했다.[66] 그의 이름을 딴 나비 속 ''나보코비아''가 존재하며, 여러 나비와 나방 종도 그의 이름이나 소설에서 따온 이름을 가지고 있다.[66] 그는 광범위한 수집 경력 동안 운전을 배우지 못했고, 아내에게 수집 장소까지 데려다주는 것을 의존했다. 1940년대에 그는 동물학 연구원으로 하버드 대학교 비교 동물학 박물관의 나비 수집을 정리하는 일을 맡았다.
나보코프는 1967년에 "문학적 영감의 즐거움과 보상은 현미경 아래에서 새로운 기관을 발견하거나, 이란 또는 페루의 산기슭에서 기술되지 않은 종을 발견하는 기쁨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하며 곤충학에 대한 열정을 드러냈다.[38] 그는 러시아 혁명이 없었다면 나비 연구에 전념하고 소설을 쓰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38]
나보코프는 체스 문제 작곡에도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정신적 긴장은 엄청나며, 시간이라는 요소는 의식에서 사라진다."라고 묘사하며 체스 문제 창작의 어려움을 표현했다. 그는 체스 문제 창작이 "독창성, 발명, 간결성, 조화, 복잡성, 그리고 훌륭한 불성실함"을 요구하며, 이는 다른 예술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98] 그는 자서전에서 작곡과 제작 과정을 묘사했다. 그는 취미로 체스 문제를 제작했으며, 『Poems and Problems』와 『수비』 등 체스와 관련된 작품을 여러 편 남겼다.
4. 1. 곤충학
나보코프의 곤충학에 대한 관심은 비라에 있는 가족 별장의 다락방에서 발견한 마리아 시빌라 메리안의 책에서 영감을 받았다.[65] 그는 광범위한 수집 경력 동안 운전을 배우지 못했고, 아내에게 수집 장소까지 데려다주는 것을 의존했다. 1940년대에 그는 동물학 연구원으로 하버드 대학교 비교 동물학 박물관의 나비 수집을 정리하는 일을 맡았다. 이 분야의 그의 저술은 매우 전문적이었다. 그의 전문 분야가 비교적 인기가 없는 파랑나비과의 Polyommatini족이라는 점과 더불어, 그의 문학 작품 팬들 대부분은 그의 삶의 이 측면을 거의 탐구하지 못했다. 그는 카너 블루를 기술했다. 속 ''나보코비아''는 이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다수의 나비 및 나방 종도 마찬가지였다(예: ''Madeleinea'' 및 ''Pseudolucia'' 속의 많은 종들은 나보코프를 연상시키는 형용구나 그의 소설에서 따온 이름을 사용한다).[66]1967년, 나보코프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현미경 아래에서 새로운 기관을 발견하거나, 이란 또는 페루의 산기슭에서 기술되지 않은 종을 발견하는 기쁨에 비하면 문학적 영감의 즐거움과 보상은 아무것도 아니다. 만약 러시아 혁명이 없었다면, 나는 전적으로 나비 연구에 전념하고 소설을 전혀 쓰지 않았을 것이다.[38]
현재 비교 동물학 박물관을 포함하고 있는 하버드 자연사 박물관은 작가가 수집한 수컷 파란 나비 생식기를 보관했던 나보코프의 "생식기 보관함"을 여전히 소장하고 있다.[67][20] 낸시 픽은 "나보코프는 진지한 분류학자였다. 그는 실제로 서로 다르다고 생각하지 못할 종들을 구별하는 데 매우 능숙했다. 일주일에 7일, 하루 6시간 동안 현미경으로 생식기를 관찰하여 시력이 영구적으로 손상될 때까지 연구했다."라고 썼다.[68]
전문 나비 연구가들은 나보코프의 연구를 생전에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새로운 유전학 연구는 ''Polyommatus'' 파란나비라고 불리는 나비 종의 그룹이 다섯 차례에 걸쳐 베링 해협을 통해 신세계로 건너가 결국 칠레에 도달했다는 나보코프의 가설을 뒷받침한다.[69]
린시목 연구자로서, 나보코프는 하버드 대학교와 코넬 대학교의 연구소에서 부전나비의 분류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나보코프가 수집한 약 4000개의 나비 표본은, 위에서 언급한 대학 외에도, 아메리카 자연사 박물관, 로잔의 스위스 동물학 박물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나보코프 박물관에 기증되었다.[97]
4. 2. 체스
나보코프는 망명 기간 동안 상당한 시간을 들여 체스 문제를 작곡했으며, 독일의 러시아 망명 언론에 게재했다. 《시와 문제》(18문제)와 《기억하라, 말하기를》(1문제)이 그것이다.[97] 그는 자서전에서 작곡과 제작 과정을 "정신적 긴장은 엄청나며, 시간이라는 요소는 의식에서 사라진다."라고 묘사했다. 그에게 체스 문제를 창작하는 "독창성, 발명, 간결성, 조화, 복잡성, 그리고 훌륭한 불성실함"은 다른 모든 예술과 유사했다. 나보코프는 취미로 체스 문제를 제작했으며, 『Poems and Problems』와 『수비』 등 체스와 관련된 작품을 여러 편 남겼다.[98]5. 정치적, 사회적 관점
나보코프는 아버지의 전통을 따른 고전적 자유주의자였다.[70][71] 그는 자서전 ''Speak, Memory''에서 아버지의 전제 정치 반대 운동과 사형에 대한 강력한 반대를 자랑스럽게 이야기했다.[72] 그는 스스로를 "백계 러시아인"이라고 칭했으며,[38] 1917년 10월 볼셰비키 혁명 이후 권력을 잡은 소비에트 정부에 강력히 반대했다. 그는 1917년 십 대에 쓴 시에서 레닌의 볼셰비키를 "회색 누더기 사람들"이라고 묘사했다.[73]
나보코프는 평생 동안 아버지의 고전적 자유주의 정치 철학에 헌신했으며, 차르 전제 정치, 공산주의, 파시즘에도 똑같이 반대했다.[74] 그의 아버지인 블라디미르 드미트리예비치 나보코프는 러시아 제국에서 유대인의 권리를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이는 차르 알렉산드르 2세의 법무부 장관으로서 반유대주의 조치를 통과시키려는 내무부 장관을 막았던 그의 아버지 드미트리 나보코프에 의해 시작된 가문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었다. 이러한 가문의 전통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에게도 이어져, 그는 자신의 저작에서 반유대주의를 강력히 비난했다. 1930년대에 그가 히틀러의 독일에서 탈출할 수 있었던 것은 차르 시대에 유대인을 옹호했던 그의 가족에 대해 고마움을 기억하는 러시아계 유대인 망명자들의 도움 덕분이었다.[20]
1940년대, 미국으로 망명한 나보코프는 미국과 영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짧게 존속했던 러시아 임시 정부의 열망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했다. 1942년 그는 "민주주의는 인간성의 최상이며... 인간의 정신이 세상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해서도 자각하게 된 이래 모든 사람의 자연스러운 상태이다."라고 선언했다.[75] 1960년대에 그는 서신과 인터뷰에서 신좌파 운동에 대해 깊은 경멸감을 드러내며 시위자들을 "순응주의자"와 "멍청한 불량배"라고 불렀다.[20][76]
나보코프는 베트남 전쟁을 지지했으며 린든 B. 존슨 대통령과 리처드 닉슨 대통령 모두에게 존경심을 표했다.[76][78][79][80]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은 나보코프를 경악하게 했으며, 그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다인종 배경을 분리 정책에 반대하는 논거로 내세웠다.[78]
6. 한국에의 영향
Влияние на Корею|블리야니예 나 코레유ru (한국에의 영향)
나보코프의 작품은 한국 문학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의 소설은 여러 한국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문체와 기법은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abokov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9-09
[2]
웹사이트
Nabokov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9-09
[3]
encyclopedia
Nabokov, Vladimir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Nabokov
Merriam-Webster
2019-09-09
[5]
웹사이트
Nabokov, Vladimir
https://www.ldoceonl[...]
Longman
2019-09-09
[6]
웹사이트
The 50th Anniversary of Nabokov's Lolita
https://rmc.library.[...]
2022-09-19
[7]
웹사이트
100 Best Novels
http://www.randomhou[...]
Modern Library
2009-02-12
[8]
웹사이트
100 Best Nonfiction
http://www.randomhou[...]
Modern Library
2009-02-12
[9]
서적
Speak, Memory: A Memoir
Gollancz
[10]
서적
Vladimir Nabokov
https://archive.org/[...]
Reaktion Books
[11]
encyclopedia
Vladimir Nabokov {{!}} American author
http://www.britannic[...]
2016-05-03
[12]
서적
Nicolas Nabokov: A Life in Freedom and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Ayn Rand: The Russian Radical
Penn State Press
[14]
간행물
Ayn Rand
Continuum
[15]
뉴스
Confessions of a word snob
2013-04-29
[16]
논문
Nabokov and Some Poets of Russian Modernism
http://revel.unice.f[...]
2015-12-05
[17]
뉴스
The secret British life of Vladimir Nabokov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2014-04-22
[18]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the book ''Nabokov's Berlin''
http://www.d-e-zimme[...]
St. Petersburg
2002-07-15
[19]
뉴스
Vera, chapter 1, para 6
https://www.nytimes.[...]
[20]
간행물
Visiting Mrs Nabokov: And Other Excursions
Penguin Books
[21]
뉴스
The Enchanter by Vladimir Nabokov; translated by Dmitri Navokov
https://www.latimes.[...]
1986-09-18
[22]
웹사이트
Reading: The First Throb of Lolita
http://chicagoreader[...]
2021-09-03
[23]
뉴스
The gay Nabokov
http://www.salon.com[...]
2013-12-08
[24]
웹사이트
"Nabokov's Type: Lysandra cormion"
http://www-v1.amnh.o[...]
2013-04-18
[25]
뉴스
Nabokov, Scientist
1999-07
[26]
웹사이트
Supreme Court Interviews
http://www.lawprose.[...]
2015-12-05
[27]
뉴스
Vera Nabokov, 89, Wife, Muse and Agent
https://www.nytimes.[...]
1991-04-11
[28]
서적
Vladimir Nabokov: The American Years
[29]
뉴스
Snapshot: Nabokov's Retreat
http://archive.mailt[...]
2018-08-09
[30]
뉴스
The final twist in Nabokov's untold story
https://www.theguard[...]
2024-07-13
[31]
뉴스
The Final Twist in Nabokov's Untold Story
https://www.theguard[...]
2009-10-25
[32]
서적
The Garland Companion to Vladimir Nabokov
Garland Publishing
[33]
뉴스
Nabokov's last work will not be burned
http://blogs.guardia[...]
2008-06-24
[3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mitri Nabokov
https://www.npr.org/[...]
2008-04-30
[35]
뉴스
Agence Française
https://archive.toda[...]
[36]
서적
Hugging the Shore
[37]
웹사이트
Playboy interview: Vladimir Nabokov
http://lib.ru/NABOKO[...]
2013-12-05
[38]
인터뷰
Vladimir Nabokov, The Art of Fiction No. 40
http://www.theparisr[...]
1967-Summer–Fall
[39]
뉴스
Vladimir Nabokov, Author of 'Lolita' and 'Ada,' Is Dead
https://www.nytimes.[...]
1977-07-05
[40]
웹사이트
Nomination archive Vladimir Nabokov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41]
학술지
The Locative, the Ambient, and the Hallucinatory in the Internet of Things
[42]
서적
Actualism: Pynchon's Debt to Nabokov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43]
문서
Collected by Fredson Bowers in 1980 and published by Harcourt Brace Jovanovich
[44]
웹사이트
Kitsch Magazine
http://kitschmag.com[...]
2015-12-05
[45]
학술지
An A from Nabokov
http://www.nybooks.c[...]
2013-04-04
[46]
서적
The Philosophy Steamer
Atlantic Books
[47]
문서
Discussing Nabokov
http://www.slate.com[...]
Slate
2008-04-12
[48]
잡지
Who is Thomas Pynchon, and why did he take off with my wife?
Playboy
1977-03
[49]
학술지
The V-Shaped Paradigm: Nabokov and Pynchon
http://revel.unice.f[...]
2008-06-25
[50]
학술지
"Actualism: Pynchon's Debt to Nabokov"
1983-Spring
[51]
뉴스
John Banville
http://books.guardia[...]
The Guardian
2008-04-12
[52]
뉴스
Toasting (and Analyzing) Nabokov; Cornell Honors the Renaissance Man Who, oh Yes, Wrote 'Lolita'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8-09-15
[53]
웹사이트
Bombs, bands and birds recalled as novelist Salman Rushdie trips down memory lane
http://www.news.corn[...]
Cornell University
2007-10-23
[54]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Edmund White
http://www.bookslut.[...]
2007-02
[55]
문서
"John Hawkes: An Interview. 20 March 1964. John J. Enck and John Hawkes"
[56]
잡지
Fiction Podcast: Aleksandar Hemon Reads Vladimir Nabokov
https://www.newyorke[...]
2024-08-06
[57]
웹사이트
It Changed My Life
http://www.michaelch[...]
2006-07
[58]
웹사이트
VN Collation No.26
http://www.libraries[...]
Zembla
[59]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T. C. Boyle
http://us.penguingro[...]
Penguin Reading Guides
[60]
서적
Waiting for America: A Story of Emigration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6
[61]
학술지
'[Review of "Waiting for America" by Maxim D. Shrayer]'
2008-02-08
[62]
웹사이트
Immigrant Baggage: Morticians, purloined diaries, and other theatrics of exile
https://www.academic[...]
[63]
뉴스
Review: The Emigrants by W. G. Sebald
http://bostonreview.[...]
1997-02–03
[64]
웹사이트
Nabokov
https://planetarynam[...]
IAU/NASA/USGS
[65]
서적
Chrysalis: Maria Sibylla Merian and the Secrets of Metamorphosis
https://archive.org/[...]
Harcourt
[66]
웹사이트
Butterflies and moths bearing Nabokov's name
http://www.libraries[...]
Zembla
[67]
서적
The Rarest of the Rare: Stories Behind the Treasures at the Harvard Museum of Na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Harper
[68]
학술지
Blood, Sweat, and Bones
http://www.gsas.harv[...]
2005-Spring
[69]
뉴스
Nabokov Theory on Butterfly Evolution Is Vindicated
https://www.nytimes.[...]
2011-01-25
[70]
서적
Vladimir Nabokov and the Poetics of Liberalism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11
[71]
서적
Strong opinions
Vintage Books
[72]
서적
Vladimir Nabokov and the Poetics of Liberalism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11
[73]
서적
Vladimir Nabokov
https://archive.org/[...]
[74]
서적
Vladimir Nabokov: The Russian Yea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75]
서적
Vladimir Nabokov: The American Yea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76]
서적
Discourse and ideology in Nabokov's prose
https://archive.org/[...]
Routledge
[77]
서적
Vladimir Nabokov's Lolita: A Case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78]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Vladimir Nabokov
Open Road Media
2013
[79]
서적
Véra (Mrs. Vladimir Nabokov)
Random House Digital
[80]
서적
Book business: publishing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archive.org/[...]
W. W. Norton
[81]
서적
Dear Bunny, Dear Volodya: The Nabokov-Wilson Letters, 1940–197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2]
서적
Nabokov's Theatrical Imagi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
간행물
Her monster, his nymphet: Nabokov and Mary Shelley
[84]
서적
Nabokov's Permanent Mystery: The Expression of Metaphysics in His Work
https://archive.org/[...]
McFarland & Company
[85]
문서
[86]
문서
[87]
웹사이트
Nabokov's interview
http://www.kulichki.[...]
BBC Television
2015-12-05
[88]
서적
The Five Senses in Nabokov's Work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6-19
[89]
서적
Nabokov's Art of Memory and European Modernism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90]
서적
The Five Senses in Nabokov's Work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6-19
[91]
서적
Vladimir Nabokov
https://archive.org/[...]
F. Ungar Publishing Company
[92]
웹사이트
Playboy Interview: Vladimir Nabokov
http://reprints.long[...]
2020-08-05
[93]
뉴스
Finally, a cure for insomnia?
https://www.theguard[...]
2020-07-03
[94]
뉴스
The Enthralling, Anxious World of Vladimir Nabokov's Dreams
https://www.newyorke[...]
2019-11-23
[95]
웹사이트
For three months in 1964, Vladimir Nabokov wrote down his dreams every morning, pursuing a theory that time flows backward
https://www.thevinta[...]
2019-11-23
[96]
서적
Insomniac Dreams
Princeton University Press
[97]
웹사이트
Lolita, Lepidoptera and us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2014-08-21
[98]
서적
知の逆転
NHK出版新書
[99]
웹사이트
見えないユダヤ人―半世紀後に読む『ロリータ』―
http://www.ic.nanzan[...]
南山大学紀要第37号
[100]
뉴스
新しいナボコフと遊ぼう ロシア語原典を初邦訳、英語作品の新訳も 没後40年
https://digital.asah[...]
朝日新聞
2017-11-22
[10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